비가 주룩주룩 오던 2년전 어느 여름밤. 영화 '헤드윅'을 만났습니다. 사랑하고 버림받고 절규하고 그래도 노래하는... 나의 것과는 달랐지만 차마 외면할 수 없는 `그 혹은 그녀'의 인생.

이런 표현이 있을까 싶지만 영화를 보는 내내 '귀를 뗄 수' 없었습니다. 그리고 한동안 ost를 찾아헤매었습니다. 당시 H뮤직에서 CD를 직수입해왔는데 꽤나 비싼 가격이었으며 물량도 미리 주문한 사람들에게 겨우겨우 배달되는 정도였습니다. 그쪽에서 라이센스를 너무 세게 불러서 당분간 정식발매가 어렵다던 상황. 기다리고 기다려서 직수입CD를 사긴 처음이었습니다.

동베를린을 탈출하기 위해 미군에게 몸을 팔았지만 얼마후 베를린장벽은 무너지고, 여자가 되고싶어 비싼 수술을 감행했지만 결국 그에게 남은건... 여자로서의 삶 대신 '성난 1인치(angry inch)'.

인생을 읖조린 가사들도 멋지지만 신화에서 따온 'The Origin Of Love'는 가사도 멜로디도 정말 아름답습니다. (노래에다 아름답다는 표현을 써본 것은 처음입니다)

ost만 들어도 영화를 보는 듯합니다. 존 카메론 밋첼(John Cameron Mitchell)이라는 배우가 브로드웨이 뮤지컬 공연작을 직접 영화로 만들었습니다. 각본은 물론 노래도 직접 했지요. 포스터만 접하고 '저거 뭐야, 보이조지 친구야?'하고 그저 외면할 영화가 아닙니다. 몇백만, 몇천만이 든 영화는 아니었지만 당시 꽤 오랫동안 예술영화관에 걸리면서 입소문을 탔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영화ost가 지금은 제게 없습니다. 당시 이 영화를 같이 봤던 사람에게 빌려줬는데 이젠 돌려받을 수가 없네요. 대신 나중에 라이센스 발매된 뮤지컬 ost앨범을 갖고 있는데 구성이 거의 비슷한데도 왠지 영화 ost가 그립습니다. 영화로부터 빌어온 감동이었기 때문이겠죠.






WRITTEN BY
쏘뎅
쏘뎅+기자=쏘댕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