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이 그림같다' - 손철주
내용도 좋지만 단어 씀씀이가 탁월했다.
단순한 내 머리로는 또 주제에서 엇나가기만 할 터.
책의 가치가 상하겠구나, 걱정부터 했다.
감기에 끙끙대며 졸다깨다하며 읽고
겨우겨우 지각 마감을 하고
신문에 찍힌 민망한 글자들에 얼굴 붉히며
또 주제를 부각시키지 못하고 변죽만 울렸구나 반성하던 차에
저자의 편지가 도착했다.
고맙고 민망합니다.
큰 지면을 배려해 주셔서 면구스럽습니다.
그 지면 때문에 밀려나신 여러 저자분들께 송구합니다.
......미술기자 출신 학고재 주간 손철주씨의 이메일.
고맙고도 민망하기는 내 쪽이 더 했다.
저자에게 감사인사를 받은 건 딱 두번.
두 경우 모두 전/현직 기자였는데
직업 탓인지 성격 탓인지 분석하기엔
표본이 너무 모자란다.
제대로 써야 감사라도 받지... 나원참.

▲ 인생이 그림 같다/ 손철주|생각의 나무
지난해 화제가 되었던 ‘색채의 마술사 샤갈전’에서 작품을 훔치려 했다는 남자가 있습니다. 뭉크의 ‘절규’와 ‘마돈나’를 훔친 도둑놈들과 겨루려 했다나요. 뭉크의 두 작품이 표방하는 고통과 구원을 한 손에 해결하겠다며 ‘도시 위에서’를 찍어두었답니다. 맹랑하게도 글 속에 자신의 죄를 낱낱이 토해놓은 ‘절도 예비 음모죄’ 피의자는 바로, 학고재 주간 손철주씨입니다. 오랜 미술기자 생활의 유산으로 ‘그림, 아는 만큼 보인다’를 펴낸 지 7년 만에 다시 그림을 주제로 책을 엮었습니다.
얼굴에 정신을 담으려 했던 우리 초상화를 이야기하려고 들어놓은 예화가 재미있습니다. 1953년 스탈린이 죽자 파리의 어느 공산당 잡지는 당대 최고 화가인 피카소에게 ‘경애하는 지도자 동무’의 초상화를 맡겼답니다. 마감시간이 다 되어 도착한 피카소의 그림을 뜯어본 편집자는 하얗게 질렸답니다. ‘만국 인민의 준엄한 아버지’는 없고 허겁지겁 그린 듯한 웬 어벙한 콧수염의 낯짝이 버티고 있었으니까요. 책이 나오자 유럽의 공산당원들이 한동안 들끓었겠죠. 숨도 못 쉬고 지냈던 피카소가 나중에 푸념했답니다. “장례식에 꽃한다발 보냈는데 꽃이 마음에 안든다고 꽃 보낸 사람까지 욕할까.” 이때 저자가 덧붙이는 말이 한술 더 뜹니다. “생화 보낼 자리에 조화를 보낸 꼴이 됐잖소.”
자신만의 느낌과 감각으로 그림을 읽는다면 오독과 편견마저 좋다는군요. 겁내지 말고 많이 보라고, 볼수록 그 안에 길이 있다고 저자가 충고합니다.
곳곳에서 튀어나오는 해박한 지식과 잊혀진 단어들을 솜씨 좋게 요리한 문체가 돋보입니다. 걸쭉하면서도 격이 낮지 않고 쉬우면서 재미납니다.
특히 헤밍웨이와 박수근, 중국의 서위, 조선의 최북, 반 고흐를 오가는 ‘상처 있는 영혼은 위험하다’라는 꼭지가 일품입니다. 표지에 적어둔 ‘고전과 현대를 아우르는 새로운 격’이란 말이 빈말이 아니었습디다그려. 1만2천원
〈임소정기자 sowhat@kyunghyang.com〉
|
'폐기 > 둥둥 Book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려라, 애란 (0) | 2006.03.04 |
---|---|
많이 알아야 마니아라는 편견을 버려! (12) | 2006.01.16 |
역시나, 아닌갑다. (0) | 2005.09.03 |
과학식은 하나도 없는 한국과학사상사 (2) | 2005.08.01 |
책책 책임져 (2) | 2005.06.08 |
WRITTEN BY
- 쏘뎅
쏘뎅+기자=쏘댕기자